♪ 나의 성장을 '정성적인 관점'과 '정량적인 관점'으로 측정할 수 있다! ♬
나의 삶이 어떤 방향으로 얼마나 변화하고 발전하는지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있다. 바로 '정성적인 관점'과 '정량적인 관점'이다.
'정성적 측면 지표' 는 특정 상황 내에서 '변화의 깊이와 폭'을 측정하는 데 사용 한다. 정성적 지표는 구체적인 관찰을 통해 패턴을 파악해냄으로써 미묘하고 개별적인 결과를 알려주며 풍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아무리 뛰어나 연구소의 연구원들이라도 자신의 연구 가치를 미리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없다. 그러나 그들은 3년마다 모여 앉아 이렇게 질문할 수는 있다. "삶의 변화에 기여하는 데 있어 우리는 무엇을 성취했는가? 미래의 결과를 위해 우리는 지금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가?"
정성적 결과는 투병 중인 암 환자들에게 희망을 심어주는 일처럼 '손에 잡히지 않는 결과'인 경우가 많다. 주관적이고 파악하기 쉽지 않지만, 그럼에도 정성적 데이터는 정량적 데이터만큼 중요하고 체계적으로 수집돼야 한다.
'정량적 측정 지표'는 명확한 기준을 가지고 있다. 정량적 지표는 카테고리와 기대치 설정을 통해 객관적인 사실을 알려준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위험한 환경에 처한 청소년들이 집중적으로 예술 교육을 받으면 학업 성적이 향상되었는지, 취업 훈련을 마치면 생계 가능의 임금을 받으면서 일하는 '사회복지 수급자'의 수가 증가하는지, 10대 흡연자 수가 증가하는지 혹은 감소하는지, 24시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면 아동학대 사례가 줄어드는지 등이 바로 정량적 지표를 활용한 사례다. 정량적 측정 지표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을 적절하게 배분하는지, 개선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더 나은 방향으로 제대로 나아가고 있는지 등을 측정하는데 필수적이다.
[자료출처=피터 드러커의 최고의 질문]
'책속에서 얻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공부] 손수/몸소/친히/스스로/저절로 (0) | 2017.10.08 |
---|---|
책을 출판하는 과정은? (0) | 2017.10.05 |
책에서 '판'과 '쇄'의 차이점? (0) | 2017.10.04 |
[좋은 말투의 법칙] 협상에 성공하는 대화법, "150만원에 차를 드리겠습니다" (0) | 2017.10.02 |
[계획짜는 방법] 효과적인 계획을 위한 5가지? (0) | 2017.09.24 |
댓글